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7세 이용가

덤프버전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등급 제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 펼치기 · 접기 ]
영화, 비디오물 및 뮤직비디오 ▼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파일:영등위_제한관람가_2021.svg

TV 프로그램 ▼
파일:모든 연령 시청가 아이콘.svg 파일:7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파일:12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뮤직비디오가 방송사 자율심의를 받은 경우에는 이 등급을 적용

게임 ▼
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 파일:게관위_12세이용가.svg 파일:게관위_15세이용가.svg 파일:게관위_청소년이용불가.svg 파일:게관위_등급분류거부.svg

웹툰 ▼
파일:웹툰_전체이용가.svg 파일:웹툰_12세이용가.svg 파일:웹툰_15세이용가.svg 파일:웹툰_18세이용가.svg
웹툰 등급은 플랫폼의 자율 심의






1. 개요
2. 명칭
3. 대한민국에서 7세 미만에게 제한적인 작품
3.1. 애니메이션
3.2. 드라마
3.3. 게임
3.4. 특촬물
3.5. 뮤직비디오
3.6. 기타


1. 개요[편집]


7 / 七歲 視聽可

2023년 기준 생일이 지난 2016년생 이상만 이용할 수 있다.[1]

미디어 매체를 이용함에 있어서 이용자의 연령이 7세 이상이어야 함을 뜻하는 용어. 만 7세 이상이므로 생일이 지난 초1 이상이 되어야 볼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TV 프로그램, 뮤직비디오[2] 등급 분류 기준에만 존재하는 등급이다. 다만 공연의 경우 간혹 비공식적으로 7~8세 이상의 관람 제한을 설정하는 경우가 있으며, 영화에도 이것을 도입하려는 계획을 검토중이다. 낮은 수위의 욕이 나온다. 전체 이용가와의 차이는 비현실적이라도 폭력적인 묘사가 나온다는 것 정도로 봐야 한다. 극장 영화, 넷플릭스, 디즈니+ 등의 OTT, 게임물에는 이 등급이 없기 때문에 다른 시청등급과 달리 "7세 이용가" 명칭이 아니라 7세 시청가라고 부른다.

이 등급은 만 7세의 경우 원칙적으로 부모, 혹은 법적으로 친권이 유효한 인물, 즉 보호자의 시청지도라면 가능하며, 보호자 시청지도를 인정하는 것은 "보호자가 관련 내용정보를 충분히 숙지하고 그 지도하에 시청을 허용하여, 보호자의 자녀 교육에 대한 책임과 가정의 적극적인 역할을 인정하는 취지"라고 문화체육관광부가 밝혔다. 전체관람가는 너무 낮고 12금은 높을 때 붙인다.


2. 명칭[편집]


파일:7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방송 프로그램용 등급표시[3][4]

대한민국에서는 7세 시청가로 불린다.


3. 대한민국에서 7세 미만에게 제한적인 작품[편집]


  • 굵은 글씨는 수위가 더 높은 것.
  • 기울어진 글씨는 수위가 더 낮은 것.


3.1. 애니메이션[편집]


--
  • 갓슈벨
  • 개구리 중사 케로로[5]
  • 검볼[6][7]
  • 꼬마신랑 쿵도령 & 꼬마어사 쿵도령
  • 꿈빛 파티시엘
  • 꿈속의 뮤 애니메이션 시리즈
  • 네모바지 스폰지밥[8]
  • 레고 닌자고
  • 다!다!다!
  • 다오 배찌 붐힐 대소동[9]
  • 달빛천사
  • 다이노 코어 시리즈
  • 달의 요정 세일러 문(1기) (대원방송)
  • 대롱대롱 요괴지롱
  • 디지몬 시리즈[10]
  • 라바
  • 라이브 온 카드리버
  • 애니메이션 런닝맨
  • 록맨 에그제 애니메이션 시리즈
  • 롤러코스터보이 노리
  • 롤링스타즈
  • 미라큘러스: 레이디버그와 블랙캣[11]
  • 미술탐험대
  • 미스테리야
  • 마법변신! 아이돌 프린세스 리틀프릿
  • 마샤와 곰
  • 머털도사
  • 메르헤븐
  • 명탐정 코난 TV판 1~7기[12]
  • 몬카트
  • 미라
  • 베리베리 뮤우뮤우[13]
  • 베이블레이드 시리즈
    •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14]
    •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 부탁해! 마이멜로디
  • 브레드 이발소
  • 뿌까 (2018년판)[15]
  • 변신자동차 또봇
  • 또봇: 대도시의 영웅들
  • 쁘티프리 유시
  • 사랑은 콩다콩
  • 소피루비 시리즈
  • 숲의 요정 페어리루 ~마법의 펜듈럼~[16]
  • 썬더 일레븐
  • 썬더 일레븐 GO
  • 썬더 일레븐 GO 크로노 스톤
  • 썬더 일레븐 GO 갤럭시
  • 아이언 키드 (1~2화)[17]
  • 아이엠스타!
  • 안녕 자두야[18]
  • 웨딩피치
  • 완다가 간다
  • 요괴워치
  • 용의 전설 레전더
  •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 위 베어 베어스[19]
  • 정글에서 살아남기 마루의 어드벤처
  • 제트레인저
  • 쥬얼펫 애니메이션 시리즈
  • 카드캡터 체리[20]
  • 캐릭캐릭 체인지
  • 캐치! 티니핑
  • 케모노 프렌즈 1기[21]
  • 타오르지마 버스터[22]
  • 태극천자문[23]
  • 틴 타이탄 GO![24]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 프리큐어 시리즈[25]
  • 프리티 시리즈[26]
  • 플라워링 하트(디즈니채널, 투니버스 방송분 한정)
  • 핀과 제이크의 어드벤처 타임[27]
  • 학원 베이비시터즈
  • 히어로 써클
  • 헬로 카봇[28]
  • R.O.D


3.2. 드라마[편집]



3.3. 게임[편집]


  • 만 7세 이상인 게임[29]
-
  • 마인크래프트[30]
  • 모바일 레전드
  • 브롤스타즈
  • 선생님 몰래 도시락 먹기
  • 어몽어스[31]
  • 의지의 히어로
  • 클래시 로얄
  • 킥 더 버디[32]


3.4. 특촬물[편집]


  • 가면라이더 드래건 ~ 가면라이더 디케이드까지의 1기 헤이세이 라이더[33]
  • 레전드히어로 삼국전(애니플러스, 투니버스 방송분 한정)[34]
  • 파워레인저 시리즈[35]


3.5. 뮤직비디오[편집]




3.6. 기타[편집]


  • 생방송 톡!톡! 보니하니
  • 어거스트 러쉬[36]
  • 요리조리 맛있는 수업
  •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37]
  • 자이언트 펭TV[38]



[1] 즉, 세는나이 8세 생일이 지나고 나서[2] 방송사 자체심의를 받은 경우 한정. 영상물등급위원회 심의를 받을 경우 7세 이용가에 해당하는 등급은 받을 수 없다.[3] 뮤직비디오가 방송사를 통해 자체심의를 받은 경우에는 이 등급을 부여받을 수 있다.[4] 방송용의 경우 방송국마다 갖고 있는 아이덴티티 영향으로 디자인이 상이하다.

예시: JTBC 등급표시 파일:JTBC_7세.png
[5] 투니버스노력으로 인해 7세가 되었다.[6] 미국 등급은 TV-Y7-FV. 어째서인지 12세 이상 시청가에 해당되는 TV-PG도 받지 않았는지는 불명.[7] 원래는 모든 연령 시청가로 심의를 받았으나, 이후 등급이 조정되었다.[8] 혐오스러운 장면이 은근히 많다. 그 중 가장 심한 것은 얼굴마비 편.[9] 사실상 파리 대왕과 맞먹을 정도다.[10] 파워 디지몬과 디지몬 테이머즈는 7세 이상 시청가 → 12세 이상 시청가 (KBS 방영판만), 고스트 게임은 Part 1에서 12세 이상 → Part 2에서 15세 이상 시청가로 됐다.[11] 국내 심의 등급이다.[12] 8~14기는 12세, 15기부터 15세.[13] SBS판 기준. 9colors 방영판은 15세 이상 시청가, 신작은 12세 이상 시청가다.[14] 세계관부터가 사실상 다크 판타지에 가까우며 아동이 보기엔 충격적인 장면이 매우 많다.[15] 구작인 짜장소녀 뿌까전체 이용가.[16] 전작 숲의 요정 페어리루 ~마법의 문~, 숲의 요정 페어리루 ~마법의 거울~은 모든 연령 시청가였다.[17] 3화부터 12세 시청가로 전환되었다.[18] 몇몇 영상에서는 술의 묘사가 있고 공포심을 유발하는 장면이 있다. 그래서인지 대교어린이TV에서는 안녕 자두야 시즌 3를 12세 시청가로 방영하고 있다.[19] 12금 못지 않은 수준인데도 EBS1전체 관람가다.[20] SBS 방영 당시가 아니라 그 뒤로 애니맥스 등에서 재방이 이루어졌을 때.[21] 치마와 과감한 짧은 치마 씬이 많았음에도 7세로 지정되었다. 2기는 15세 시청가.[22] KBS는 12세 이용가.[23] JEI 재능TV 초기, 대교어린이TV 후기 한정.[24] 카툰네트워크 한정.[25] SBS(빛의 전사 프리큐어 한정), 대원방송 모두 해당. 애니플러스에서 방영하는 희망의 힘 ~어른 프리큐어'23~은 15세 시청가.[26] 프리파라, 아이돌 타임 프리파라는 모든 연령 시청가였다.[27] 그로테스크한 묘사가 있는데도 7세로 지정되었다. 미국 등급은 TV-PG.[28] 7기부터 SBS.[29] google play 등급[30] 모바일 마인크래프트[31] 처음에는 18세였다가 15세로 낮춰지고 지금이야 7세가 된 것인데...[32] 인형을 고문한다. 톱으로 고문하고, 무기로 고문하고, 때려서 멍까지 드는 것이 너무 현실적이다. 이 외에도 폭력적인 것은 너무나도 많다. 그래서 다수의 사람들은 18세 이용가로 바꿔달라고 주장하고 있다. 훗날 12세 이용가로 바뀌었다.[33] 2기인 가면라이더 W부터는 12세 이상 시청가.[34] EBS 1TV판은 12세 이상 시청가.[35] 일부의 작품은 12세 작품으로 분류되어 있는데 파워레인저 매직포스재능TV판 한정이며, 파워레인저 엔진포스카툰네트워크판 한정이고, 파워레인저 애니멀포스KBS Kids 방송분 한정이며, 파워레인저 루팡포스 VS 패트롤포스는 11화와 KBS Kids 방송분 한정이다. 다만 1화 한정으로 카지노 장면 때문에 15세 이상 시청가로 방송됐다.[36] 2009년에 방영한 KBS 방영분 한정. 극장 개봉는 전체 관람가.[37] 몇몇 에피소드는 12세 이상 시청가, 리턴즈는 15세 이상 시청가.[38] 원래 등급이 7세 이상 시청가다. 심지어는 모든 연령 시청가인 영상도 있다!